건조 공법 비교

건조 공법 비교

디스크·패들·드럼 타입 건조 장치

물·공기 가열 ▷ 증기 ·열풍 ▷ 접촉 건조 방식 시장 점유율 약 90% 이상

처리 용량 대응 방식(플랜트 타입):
시설 안정성 낮음

대기 오염 방지 시설:
규모가 가장 큰 공정

  • 증기나 열풍을 투입하여 접촉 건조하는 공법으로, 에너지 소요가 큼
  • 투입 증기, 열풍 및 건조가스 등의 처리를 위한 대기오염방지시설 규모가 가장 크게 소요
  • ‘떡짐 현상’으로 투입 함수율에 제한이 있으며, 건조물 일부를 반송 후 혼합하여 투입(2중 작업)
  • 가스와 수분이 응축수로 환원되며, 액상 폐기물은 처리 시설에 위탁 처리(3중 작업)
  • 시설 규모 · 유지보수 및 운영비 소요가 가장 큰 플랜트 타입의 구조
  • 고압, 복잡한 플랜트 구조로 사고 위험이 높고, 일부 고장에도 전체 라인 가동이 중지됨

고속 발효(건조)기 타입

공기 가열 ▷ 열풍 ▷ 접촉 건조(발효) ▷ 악취 비산 방식 축산 분뇨 시장 점유율 가장 높음

  • 건조 조건에 맞추기 위해 약 4:6 비율의 톱밥을 구매하여 혼합 투입(2중 작업)
  • 처리 대상의 한계가 분명하고, 운전 조건에 따라 발효와 건조의 경계가 불분명
  • 중단의 교반 구조와 하단의 전기 열풍기로 열풍을 불어 넣어 1주일가량 서서히 건조하는 방법으로, 악취의 비산 거리가 가장 길고 악취 농도가 가장 높음

문의하기

혁신적인 기술과 자연의 가치 이해를 바탕으로 환경 및 에너지 솔루션 분야에서 고객 여러분의 가장 든든한 동반자가 되겠습니다

문의하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