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세계의 실시스템에 대한 모델을 설계하여, 이런한 모델을 가지고 그 시스템의 운영을 위한 여러 가지 운영 적략등을 평가하거나 시스템의 동작을 이해할 목적으로 실험을 수행하는 과정 Simulation Modeling 과정을 포함시켜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을 하나로 통합 개념으로 간주 현실의 실시스템을 타당한 모델로 표현하고 이를 다시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모델의 구축(구성 및 코딩)후 통계적인 분석을 통해 올바른 모델 데이터를 생성해 내는 것에 관련되는 일련의 과정
근로자, 기계, 원자재 등 다양한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생산 시스템 안에서는 여러가지
비효율이 발생되며, 생산 시스템이 적절하게 운영되지 않을 경우, 병목 현상이나 기계의
과도한 유휴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며
생산시스템을 원활하게 운영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이러한 문제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시스템을 개선하여 이를 줄이거나 제거하여야 한다.
성능 평가지표(Performance Measure)란 생산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지를 보여주
는 정량적인 지표들을 의미하며, 생산현장의 관리자들은 일반적으로 성능 평가 지표들의
값을 측정하여 문제파악을 희망하나, 이것은 쉽지 않은 일일 수 있다.
흐름량(Throughput), 대기 시간(Waiting Time), 대기행렬 길이(Que Length), 이용률
(Utilization), 리드 타임(Lead Time) 등의 성능 평가지표를 시각화 하여 가상의 생산 시스템
을 만들어 놓으면 이를 실행하여 매우 편리하게 성능 평가지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Simulation을 이용하여 현재 시스템을 변경 또는 개선했을 때의 성능 평가지표 값
을 추정하는 것도 어렵지 않다.
이를 구현하는 Tool을 사용하여 분석 및 개선을 하는 일련의
업무를 Simulation 이라 한다
출처 : 3D 팩토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생산 시스템 모델링 Hand Book
성능지표 분석
출처 : FlexSim Tutorial
현실세계의 기계·장비·사물 등을 컴퓨터 속 가상세계에 구현.